@semonan - 157 本の動画
チャンネル登録者数 5000人
취미로 즐기는 공학 ! - E-Mail: semonan.sw@gmail.com - Discord link: https://discord.gg/GEcdCXfbr5
스마트홈 직접 만들기 : 조명 제어 (2편)
스마트홈 직접 만들기 : 조명 제어 (1편)
무선 청소기 정전기 방지 방법
컴퓨터가 1과 0만으로 숫자, 문자를 저장하는 원리
Face Analysis (얼굴 분석/추적, Detection, Tracking, Deep Learning)
고성능 얼굴 분석 라이브러리 알려드림 (얼굴 추적, Face detection, face tracking)
Deep Learning 기반 Face Tracking (얼굴 인식/추적) 샘플 영상 (AI Face Tracking)
Face tracking using Deep learning
얼굴 옆 모습도 얼굴 추적 잘되는 Deep Learning based Face Tracking
얼굴 인상써도 가려져도 얼굴 추적 잘되는 Deep Learning based Face Tracking
아이폰 16 Pro 발열 테스트 (4K 120fps 동영상 촬영)
string to integer 빠르게 처리하기. strtoul()보다 7배 빠른 방법.
아이폰16프로 사전 예약에 성공했습니다. 이거 꽤 어려운 일이군요..
무선통신의 원리 설명. 전파에 1, 0 디지털 데이터를 실어서 쏘는 방법
유선통신의 원리 설명, 전선에 흐르는 1, 0 신호를 직접 보여드릴게요
5가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통신이란?
전 세계 컴퓨터를 마비시킨 블루스크린... 블루스크린은 왜 발생하는걸까?
전 세계 컴퓨터를 마비시킨 블루스크린... 블루스크린은 왜 발생하는걸까?
Chat GPT 유료 모델을 구독 없이 사용하는 방법 (Shorts)
Chat GPT 유료 모델을 구독 없이 사용하는 방법 (사용한 만큼만 내자)
졸더라도 맨 앞자리에 앉아서 조세요
LoRA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생성형 AI, LLM, 딥러닝)
Lepton3.5 + Purethermal3 작동 안하면 여기 먼저 확인하세요. | 컨설팅 사례
ChatGPT가 현재 날씨를 제공하는 원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원리)
코딩 배우면 돈 쉽게 번다고? 월 3천만원씩 번다고? X랄하고 자빠졌네..
ChatGPT가 이전 질문을 기억하는 원리
Trait 기초 문법과 override | Rust언어 {no.129}
MacOS App을 처음 개발하는데, ChatGPT 덕분에 개발 기간이 30% 단축 되었습니다 {no.128}
그냥 필요해서 화면위에 그리기 할 수 있는 Tool을 만들어봤어요 {no.127}
ScreenPen : Drawing on the screen with Hover (for MacOS, + iPad/Pencil)
SW엔지니어가 ChatGPT 3개월 사용해보고 솔직한 후기 {no.126}
enum, struct-method 에서 Generic 사용법 | Rust언어 {no.125}
Struct에서 Generic 사용법 | Rust언어 {no.124}
소리/Sound 의 데이터의 값은 어떻게 생겼을까? {no.123}
Hashmap 사용법 | Rust언어 {no.122}
문자열 다루기 2 | Rust언어 {no.121}
문자열 다루기 1 | Rust언어 {no.120}
객체의 위치를 따라서 로봇 회전 시켜보기 (Python, OpenCV) {no.119}
객체의 위치를 따라서 점 찍어보기 (Python, OpenCV) {no.118}
Camera 영상으로 실시간 객체 추적 코딩 (Python, OpenCV) {no.117}
Camera에서 영상 1장 찍어서 출력하는 방법 (Python, Opencv) {no.116}
동영상에서 객체 추적 하는 것 배워봅시다 {no.115}
스마트폰 들고 가까이 가면 열리는 자동문의 원리 {no.114}
IP주소는 알겠는데, Port는 뭘까? 왜 사용하는걸까? {no.113}
for loop 에서 vector 활용하는 방법 | Rust언어 {no.112}
vector의 원소 값을 읽는 2가지 방법 | Rust언어 {no.111}
vector도 scope를 벗어나면 해제된다 | Rust언어 {no.110}
Convolution 을 직접 구현할 필요가 없다 ! {no.109-2}
Convolution 으로 윤곽선 추출 코드 구현 {no.109}
Convolution 으로 윤곽선 추출하는 원리 {no.108}
2D-Convolution을 직관적으로 쉽게 배워보자 {no.107}
2D-Convolution 수식을 통해 제대로 배워보자 {no.106}
이미지를 흐릿하게 만드는 방법과 원리 {no.105}
vector 생성 방법들 | Rust lang 기초 {no.104}
Color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꾸는 방법 {no.103}
컴퓨터에서 이미지란? {no.102}
use/mod를 사용하는데 *, ::, super 를 모른다고요? | Rust언어 {no.101}
use는 Module을 배웠으면 꼭 알아야 한다 | Rust언어 {no.100}
Python으로 로봇 제어 해보기 (아두이노에서 통신 패킷 해석/처리) {no.99}
통신 프로토콜 설계 하는 방법 {no.98}
MCU Firmware를 간단하게 재설계 해보자 {no.97}
MCU 만으로는 불편하다... 규모를 확장해보자 ! {no.96}
Module을 통해 큰 범위에서 코드를 조직화 해보자 | Rust언어 {no.95}
여러 개의 서보모터를 동시에 움직여보자 {no.94}
어설픈 로봇 팔로 종이컵 옮기기 (아두이노) {no.93}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박스 옮기는 로봇 만들기 {no.92}
#90 영상의 설계대로 구현된 소스코드 입니다 {no.91}
로봇 팔 제어를 위한 SW 설계 {no.90}
Singleton Design pattern 원리 (no.89)
SW 고수가 되려면 신경써야 하는거.. Bus factor ! {no.88}
Enum 에 값을 넣을 수 있다 | Rust lang 기초 {no.87}
SW 개발 입문자에게 삽질이란..? {no.86}
Enum 기본 사용법 | Rust lang 기초 {no.85}
수학적 모델의 코드 구현 및 로봇 동작 살펴보기 {no.84}
로봇 속도 제어를 위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 {no.83}
맥북에어 M1 vs M2 렌더링 속도 비교 (Adobe Premiere) {no.82}
로봇 팔! 고급지게 속도 제어 해보기 | Embedded {no.81}
로봇 팔 움직이는 속도 제어 해보기 | Embedded {no.80}
Servo motor 4개로 로봇팔 무자비하게 움직이기 | Embedded {no.79}
Macbook Air M1 vs M2 CPU 성능 비교 (M2가 얼마나 더 빠를까?) {no.78}
Arduino로 Servo motor를 아주 쉽게 제어해보기 | Embedded {no.77}
MG996R(Motor) 제어를 위한 PWM 파형을 눈으로 살펴 봅시다 | Embedded {no.76}
Servo Motor (서보 모터) 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Embedded {no.75}
Methods에서 Parameter 여러개 받는 방법 | Rust언어 {no.74}
Methods 기본 사용법 | Rust언어 {no.73}
심심한데.. Robot 이나 만들어 볼까요? | Embedded {no.72}
구조체 (Struct) 사용법 4 - Tuple Structs | Rust언어 {no.71}
Raspberry pi의 Linux 설치 및 SSH 접속 방법 (22년 8월 버전) {no.70}
구조체 (Struct) 사용법 3 - Struct Update Syntax | Rust언어 {no.69}
구조체 (Struct) 사용법 2 | Rust언어 {no.68}
구조체 (Struct) 사용법 | Rust언어 {no.67}
배열 등 Collection type 자르기 (Collections slices) | Rust언어 {no.66}
문자열 자르기 편리한 문법 (String Slices) | Rust언어 {no.65}
Macbook Air M2 개봉기 (M1 쓰던 사람이 M2를 또 구입했습니다) {no.64}
머리 쓰지 않고 효과적으로 오류 코드 찾는 방법 ! {no.63}
가속도 센서로 Motion 인식 해보기 (3) | Nano33 IOT | Embedded SW {no.62}
가속도 센서로 Motion 인식 해보기 (2) | Nano33 IOT | Embedded SW {no.61}
가속도 센서로 Motion 인식 해보기 (1) | Nano33 IOT | Embedded SW {no.60}
가속도 센서 사용방법 | Nano33 IOT | Embedded SW {no.59}
Windows 환경변수 설정 후 재부팅 해야 한다? No ! {no.58}